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layer 3

[CISCO Network R&S] CCNA 5장 라우팅 프로토콜과 RIPv2 본문

CISCO Networks/Routing and Switching

[CISCO Network R&S] CCNA 5장 라우팅 프로토콜과 RIPv2

뿅뿅뽁 2018. 12. 28. 20:31

안녕하세요 뿅뿅뽁입니다.


이번 장에서는 라우팅 프로토콜과 프로토콜 중 하나인 RIPv2를 하겠습니다.


1. 라우팅 프로토콜


보통 네트워크를 구성 할 때 내부 네트워크는 스위치로 구성합니다. 스위치를 분배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외부 네트워크는 라우터로 구성합니다.


라우팅이란 라우터장비를 이용하여 패킷에 대한 목적지 IP 주소와 일치하는 경로를 라우팅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패킷을 인터페이스로 출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작을 의미합니다. 이때, 라우팅은 경로 정보 검색, 최적 경로 선출, 선출된 경로들에 대한 관리라는 3가지 일을 수행합니다.


여기서 경로 정보 검색, 최적 경로 선출, 선출된 경로들에 대한 관리는 무엇인가하면


경로 정보 검색 : 네트워크에 할당된 서브넷에 도달할 수 있는 모든 경로 정보를 검색 및 수집하는 과정. 라우터와 라우터간에 유니케스트, 멀티케스트, 브로드케스트 방식을 이용하여 교환한다.


최적 경로 선출 : 수집된 경로 정보들을 기반으로 각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선출하는 과정. 메트릭 상수를 이용하여 선출한다.


경로들에 대한 관리 : 크게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이 있는데 정적 라우팅은 관리자가 직접 관리하는 방법으로 앞 장에서 했던 Static 경로 설정이 정적 라우팅에 해당하며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서 자동으로 설정되고 관리하는 방법을 동적 라우팅이라고 합니다. Static, RIP, EIGRP, ISIS, BGP 등)


그럼 여기서 메트릭에 관하여 또 궁금하실 겁니다.


메트릭이란 목적지로 가는 경로가 여러개일 경우 알고리즘을 통하여 경로값을 계산하여 메트릭이 낮게 나오는 경로를 최적 경로로 선출하는 데 사용합니다. 메트릭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냐면


R1#show ip route ospf

   13.0.0.0/24 is subnetted, 5 subnets

O     13.13.10.0 [110/66] via 13.13.23.2, 00:01:14, FastEthernet0/1

O     13.13.12.0 [110/65] via 13.13.203.2, 00:01:14, FastEthernet0/1


이 경우에 첫번쨰 OSPF로 연결된 경로는 메트릭이 66이고 두번쨰는 65이가 되서 2번째를 최적 경로로 선택하게 됩니다.


라우팅 프로토콜들이 사용하는 메트릭은 다음과 같습니다


RIPv1, RIPv2 : Hop Count

EIGRP : Bandwidth, Delay, Reliability, Load, MTU

OSPF : Cost

ISIS : Cost

BGPv4 : Attribute


메트릭을 계산하는 건 필요할 때 찾으시면 될 듯 합니다.


2. RIPv2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들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앞에서 설명드렸다싶이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들은 경로 탐색, 관리, 선출을 모두 자동으로 해준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번에 할 RIPv2는 Distance Vector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RIPv1과 RIPv2의 차이점은 서브넷을 classless형식과 classfull 형식이라는 점입니다. 


여기서 잠깐 클래스풀과 클래스리스를 알아보겠습니다


IP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서브넷을 만들었고 IP의 주소 낭비와 효율적인 서브넷 관리를 하기 위하여 IP Address class를 만들었습니다


클래스는 총 5개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서브넷도 정해져 있습니다.


A클래스(유니케스트 주소) : 0.0.0.0/8 ~ 127.255.255.255/8

B클래스(유니케스트 주소) : 128.0.0.0/16 ~ 192.1255.255.255/16

C클래스(유니케스트 주소) : 192.0.0.0/24 ~ 223.255.255.255/24

D클래스(멀티케스트 주소) : 224.0.0.0/8 ~ 239.255.255.255/24

E클래스(사용이 제한된 주소) : 240.0.0.0/8 ~ 255.255.255.255./8


클래스리스는 클래스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시 돌아와서 RIPv2의 특징은 classless 형식이지만 라우팅 설정은 classfull 형식으로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그럼 직접 한번 해보겠습니다.



라우터 6개에 Serial을 꽂을수 있게 라우터에서 모듈을 껴 주시고 DCE 케이블을 저렇게 꽂아주시기 바랍니다. 꽂으시는 인터페이스는 자유롭게 하셔도 됩니다.


이제 기본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필요하시면 복사 붙여넣기 하셔도 됩니다.


host1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hostname host1

host1(config)#int serial 0/3/0

host1(config-if)#ip address 13.13.10.1 255.255.255.0

host1(config-if)#no shut


host2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hostname host2

host2(config)#int serial 0/3/0

host2(config-if)#ip address 13.13.20.1 255.255.255.0

host2(config-if)#no shut


host3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hostname host3

host3(config)#int serial 0/3/0

host3(config-if)#ip address 13.13.30.1 255.255.255.0

host3(config-if)#no shut


R1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hostname R1

R1(config)#int se 0/3/1

R1(config-if)#ip address 13.13.10.2 255.255.255.0

R1(config-if)#no shutdown

R1(config)#int se 0/3/0

R1(config-if)#ip address 13.13.12.1 255.255.255.0

R1(config-if)#no shutdown


R2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hostname R2

R2(config)#int se0/3/0

R2(config-if)#ip address 13.13.12.2 255.255.255.0

R2(config-if)#no shut

R2(config-if)#int se 0/1/0

R2(config-if)#ip add 13.13.20.2 255.255.255.0

R2(config-if)#no shut

R2(config-if)#int se 0/3/1

R2(config-if)#ip address 13.13.23.2 255.255.255.0

R2(config-if)#no shut



R3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hostname R3

R3(config)#int se 0/3/1

R3(config-if)#ip address 13.13.30.2 255.255.255.0

R3(config-if)#no shut

R3(config-if)#int se 0/3/0

R3(config-if)#ip address 13.13.23.3 255.255.255.0

R3(config-if)#no shutdown 

이제 R1 R2 R3에서 show ip route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연결이 잘 되셨다면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제가 해볼 RIP 구간은 R1 R2 R3. 3개의 라우터입니다. 즉 이 3개 외 나머지는 다른 네트워크가 되는 것입니다.


R1부터 해보겠습니다.


R1#conf t

R1(config)#router rip

R1(config-router)#version 2

R1(config-router)#no auto-summary

R1(config-router)#network 13.0.0.0

R1(config-router)#passive-interface se0/3/1


간단하죠?? 나머지도 해주시기 바랍니다



R2


R2#conf t

R2(config)#router rip

R2(config-router)#version 2

R2(config-router)#no auto-summary

R2(config-router)#network 13.0.0.0

R2(config-router)#passive-interface se0/1/0


R3


R3#conf t

R3(config)#route rip

R3(config-router)#version 2

R3(config-router)#no auto-summary

R3(config-router)#network 13.0.0.0

R3(config-router)#passive-interface se0/3/1


자 그럼 R1에서 show ip route 를 해보겠습니다.



잘 돼었군요. 여기서 R은 RIP을 뜻하고 클래스풀로 입력했던 경로는 모두 클래스리스로 경로 탐색을 했습니다. 13.x.x.x은 A클래스 /8 이지만 저희는 13.13.10.x /24로 입력했었고 no auto-summary라는 명령어를 통해 클래스풀로 주소를 자동요약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렇게 나왔습니다


그럼 passive-interface가 궁금하실텐데 passive-interface는 경로 탐색하기 위해서는 모든 경로에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3개 중 하나를 보내는데 이는 대역폭을 잡아먹게 됩니다. 그래서 쓸데없이 불필요한 인터페이스로 이러한 통신을 보내는 것을 막는 명령어가 passive-interface 입니다. passive-interface se0/3/1은 serial 0/3/1으로 rip 업데이트를 전송하지 않겠다는 뜻입니다.


또한 [120/1]은 신뢰도가 120이고 메트릭이 1이라는 뜻입니다. 신뢰도에 대해서는 다른 프로토콜을 할 떄 비교하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ip을 써보시면 편하신걸 느끼실수 있으실겁니다. CCNA 시험에서도 시뮬레이션으로도 종종 나오기 때문에 하는 법을 익히시길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업로드한 파일에 기본 세팅을 해놓았으니 rip을 해보고 싶으신분들은 다운받아 하시길 바랍니다.


다음 장은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을 계속해서 알아보겠습니다


.RIPv2 기본설정.pkt